반응형 역세권4 서울시 역세권 도시정비형 (장기전세주택건립)재개발 사업 이란 서울시 역세권 도시정비형 재개발 사업 역세권 재개발은 일반 재개발을 추진하던 구역들이 높은 용적률과 사업 속도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환을 추진하는 사업 방식입니다. 서울시에서는 지하철 역 승강장 경계 250m 이내의 부지에 주택을 건립하면 시가 최대 준주거지역까지 용도지역을 상향해 용적률을 높여주고, 증가한 용적률의 50%를 장기전세주택으로 확보해 공급하는 방식을 도입하였습니다. ∎서울시의 장기전세주택 공급 확대 안 ∙기준 변경: 2024년까지 한시적으로 지하철 역 반경이 250m에서 350m로 확대됩니다. ∙용적률 완화: 승강장 경계로부터 350m 내에 위치한 부지는 최대 500%의 용적률 완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50m 이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최대 700%까지 적용됩니다.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 2023. 9. 23. 대방역 초역세권에 최고 38층·616세대 대방역세권 도시정비형 재개발(역세권 시프트) 사업에 대한 보고서 대방역 초역세권에 최고 38층·616세대 1. 사업 개요 ∎대방역 주변 지역에서 진행되는 역세권 시프트 사업입니다. ∎이전에는 '신길밤동산구역' 등의 명칭으로 해당 지역 전체를 재개발하는 계획이 있었으나, 2014년에 도시계획위원회에서 구역 해제 안건이 통과되어 해당 계획이 취소되었습니다. ∎현재는 여러 개발 추진 세력들이 나뉘어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가장 가까운 구간인 1만4922m2 구역부터 역세권 시프트로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2. 사업 내용 ∎해당 구간은 현재 제2종(7층) 및 제2종일반주거지대로 지정되어 있으며, 준주거지대로 상승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습니다. ∎용적률 기준은 공공임대(장기전세) 주택 공급으로 인한 완화.. 2023. 9. 15. 마포구청 역세권 도시정비형 재개발(장기전세주택) 마포구청 역세권 도시정비형 재개발(장기전세주택) 역세권 재개발 역세권 재개발은 일반 재개발을 추진하던 구역들이 높은 용적률과 사업 속도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환을 추진하는 사업 방식입니다. 서울시에서는 지하철 역 승강장 경계 250m 이내의 부지에 주택을 건립하면 시가 최대 준주거지역까지 용도지역을 상향해 용적률을 높여주고, 증가한 용적률의 50%를 장기전세주택으로 확보해 공급하는 방식을 도입하였습니다. 서울 시의 장기전세주택 공급 확대 안 ∎기준 변경: 2024년까지 한시적으로 지하철 역 반경이 250m에서 350m로 확대됩니다. ∎용적률 완화: 승강장 경계로부터 350m 내에 위치한 부지는 최대 500%의 용적률 완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50m 이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최대 700%까지 적용됩니.. 2023. 9. 13. 서울 신당 10구역의 현황과 전망 서울 신당 10구역의 현황과 전망 소개 서울 중구 신당동을 중심으로 한 신당10구역은 통합계획과 재개발을 통해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 번화한 지역은 3개의 주요 지하철역인 DDP역(2, 4, 5호선 운행), 신당역(2, 6호선), 청구역(5, 6호선) 근처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습니다. 이 좋은 위치는 주민과 관광객 모두의 허브가 되어 도시의 다양한 지역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현재 진행상황 해당 지구의 공식 지정은 2023년 6월 22일에 확정되어 재개발 여정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습니다. 이번 허가는 2021년 8월 신당10구역이 서울시 신속통합계획 부지로 선정된 지 1년 반 만이다. 직속조합설립제 도입으로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개발을 총괄하는 노조는 올해 말까지 총회를 열고,.. 2023. 9. 9. 이전 1 다음 반응형